본문 바로가기
질병과 증상 예방 및 소독방법

성형외과 수술실 멸균소독의 필요성

by ED-Solution 멸균소독 2025. 8. 9.

 

 

1. 성형외과 수술실, 왜 멸균소독이 중요한가?

성형수술은 미용 목적이든 재건 목적이든 피부와 조직을 건드리는 침습적 시술입니다. 절개는 작고 봉합은 정교합니다. 그만큼 미세한 오염에도 결과가 흔들리죠. 감염은 단순 염증으로 끝나지 않습니다. 상처 치유 지연, 흉터 확대, 보형물 감염, 추가 항생제 치료, 심하면 재수술까지 이어집니다.

문제는 오염원이 눈에 잘 보이지 않는다는 점입니다. 수술대 표면, 라이트 핸들, 도어 핸들, 카트 손잡이, 바닥은 물론 공기 중 부유균도 환부에 떨어질 수 있습니다. 청소나 알코올 닦기만으로는 공기를 통제할 수 없습니다. 그래서 성형외과 수술실은 표면·공기·기구를 동시에 관리하는 멸균소독 체계가 필요합니다.

 

 

2. 감염 예방을 위한 멸균소독의 과학적 근거

2‑1. 멸균 vs. 살균, 수준이 다르다

살균은 미생물을 줄이는 개념이고, 멸균은 세균·바이러스·곰팡이·포자까지 생존 가능한 미생물을 사실상 제거하는 수준입니다. 성형수술처럼 미세 봉합이 많은 환경에선 남아있는 소수의 미생물도 결과를 망칠 수 있으므로 멸균 수준이 권장됩니다.

2‑2. 공기 관리의 결정적 역할

수술 중엔 대화, 이동, 드레이프 조작만으로도 입자와 미생물이 공기 중에 떠다닙니다. HEPA 필터, 양압 유지, 공기 교환률, 필요 시 UV‑C·공간 멸균을 병행하면 접촉 전파뿐 아니라 공기전파 가능성까지 낮출 수 있습니다.

2‑3. 표면과 기구의 이중 안전장치

수술대·라이트·모니터·핸들 등 손이 자주 닿는 곳은 바이오필름이 형성되기 쉬워 단순 소독제로는 한계가 있습니다. 표면은 접촉 시간을 지키는 방식으로, 기구는 Autoclave(고압증기)저온가스(EO 등)로 멸균해야 교차오염을 원천 차단할 수 있습니다.

2‑4. 신뢰와 리스크 관리

멸균 프로토콜은 감염 가능성을 낮출 뿐 아니라, 수술 후 민원·리뷰·보험 클레임 등 평판 리스크를 줄여 병원 신뢰도를 높입니다. “보이지 않는 과정을 보이게” 기록하는 것이 핵심입니다.

 

3. 현장에서 바로 쓰는 수술실 멸균 운영법

3‑1. 수술 전·후 루틴

  • 오픈 전: 표면 멸균(수술대·라이트·카트·손잡이), 바닥·벽 고정 동선 청결 확보
  • 공기 관리: HEPA/양압 확인, 필요 시 UV‑C·공간 멸균으로 부유균 저감
  • 기구 멸균: Autoclave/저온가스 멸균 후 멸균 포장 무결성 확인
  • 체크리스트: 항목별 시행·검증·서명, 시간과 담당자 기록
  • 수술 후: 폐기물 분류·밀봉·배출, 표면 재멸균, 오염도 높은 존 우선 처리

3‑2. 공간·장비·사람, 세 축을 함께 본다

공간: 환기량·양압·동선 분리(멸균/비멸균), 출입 관리와 손 위생 스테이션 배치

장비: 멸균기 주기 점검(보위-딕 테스트 등), 소독제 접촉 시간 준수, 일련번호 기록

사람: 스크럽·가운·장갑 착·탈의 절차, 교육과 모의훈련, 위반 시 즉시 시정조치

3‑3. 기록이 곧 안전이다

“했는가?”가 아니라 “했다는 근거가 있는가?”가 중요합니다. 환경균 측정(스왑/낙하균), 공기 입자 수, 멸균기 로깅, 소독제 배치·소모 로그를 일자·시간·담당자로 남기면 감사·인증·민원 대응이 빨라집니다.

3‑4. 환자 커뮤니케이션 팁

  • 상담실에 멸균 체크리스트 요약판 비치: 신뢰 획득
  • 홈페이지/블로그에 수술실 멸균 루틴 공개: 투명성 강화
  • 수술 전 안내문에 자가 위생수칙 포함: 메이크업, 악세서리, 손위생 등